티스토리 뷰
반응형
📌 “내일 봽겠습니다”
📌 “회장님, 뵙겠습니다”
📌 “이따 뵈요” vs “이따 봬요”
이처럼, 일상 대화나 이메일, 문자 메시지에서 자주 쓰는 표현이지만
막상 맞춤법을 정확히 쓰라고 하면 헷갈리는 단어들이 있죠.
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
**‘뵙겠습니다’와 ‘봽겠습니다’, ‘뵈요’와 ‘봬요’**입니다.
공식적인 자리에서 잘못 쓰면 부끄럽기도 하고,
면접이나 비즈니스 상황에서는 실수로 비쳐질 수도 있어요.
이번 글에서는 이 헷갈리는 표현들을 한 번에 구분하는 맞춤법 꿀팁을 알려드립니다!
🧠 뵙겠습니다 vs 봽겠습니다, 뭐가 맞는 표현일까?
정답은…
✅ **‘뵙겠습니다’**입니다!
‘보다’의 **높임말 ‘뵙다’**에서 유래된 것으로,
'~겠습니다'와 함께 결합하면 자연스럽게 뵙겠습니다가 됩니다.
❌ ‘봽겠습니다’는 잘못된 표현입니다.
표준어가 아니며, ‘보다’의 높임 표현을 오해해서 만든 비표준어예요.
📌 다른 유사 표현과의 차이도 알아볼까요?
표현맞는 말설명
뵙겠습니다 | ✅ O | 공식적인 자리, 격식 있는 인사 표현 |
봽겠습니다 | ❌ X | 잘못된 비표준 표현 |
뵈요 | ❌ X | 구어체에서 잘못 쓰임 |
봬요 | ✅ O | '보다'의 높임 표현 ‘뵈다’ → ‘봐요’의 높임말 ‘봬요’ |
뵈러 갑니다 | ❌ X | ‘뵈다’는 준말로 쓰지 않음 |
뵈었습니다 | ❌ X | ‘뵈다’의 활용은 ‘뵈요’가 아닌 ‘뵈었습니다’ → ❌ |
뵈었어요 | ❌ X | ‘뵈어요’ 자체가 틀림, → ‘뵈었습니다’보다 ‘뵈었어요’는 비표준 |
📌 핵심 정리:
‘뵙겠습니다’(격식체) / ‘봬요’(구어체)
이 두 가지 표현만 정확히 구분하면 대부분 상황에서 OK입니다!
💬 자주 쓰는 예문으로 쉽게 외워보세요
- 회의 끝나고 인사할 때:
→ “내일 뵙겠습니다!” - 다음 약속 잡을 때 자연스럽게:
→ “그럼 다음 주에 봬요~” - 면접 마지막 인사 시:
→ “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. 뵙겠습니다.”
⚠ 이런 실수는 피하세요!
- “있다 봬요” → ❌ ‘있다’는 존재, **‘이따’(시간)**로 써야
→ 올바른 표현: “이따 봬요” - “봽고 싶습니다” → ❌
→ 올바른 표현: “뵙고 싶습니다” - “봽겠습니다” → 절대 ❌
→ **“뵙겠습니다”**만 사용하세요!
✅ 요약 정리
상황올바른 표현설명
격식 있는 자리 | 뵙겠습니다 | 높임말 + 종결 표현 |
가볍게 인사 | 봬요 | 일상 구어체 표현 |
이메일/문자 인사말 | 뵙겠습니다 | 가장 널리 사용됨 |
잘못된 표현 | 봽겠습니다 | 비표준어 (절대 사용 금지) |
👉 지금 바로 문자, 이메일, SNS에서
내가 헷갈리게 쓰고 있던 표현이 있었는지 확인해보세요!
📌 이 글을 저장해두면 면접·비즈니스·문서 작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어요.
반응형
최근에 올라온 글
반응형